실용주의로 세상을 읽은 “리처드 로티”

리처드 로티의 인물화

실용주의로 세상을 읽은 현대 철학자가 있습니다. 20세기 후반 미국 철학계를 대표하는 사상가 리처드 로티(Richard Rorty)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1. 전통 철학 넘어의 가능성을 찾은 사상가

리처드 로티는 1931년, 미국 뉴욕에서 진보적인 정치 운동가 부모 사이에서 태어났습니다. 어린 시절부터 정치와 철학에 대한 깊은 관심을 보였던 그는 시카고 대학교에서 철학 박사 학위를 받고, 프린스턴 대학교와 버지니아 대학교에서 교수로 재직하며 학문적 여정을 이어갔습니다.

젊은 시절 플라톤 철학에 심취했지만, 후에 플라톤(Plato)의 형이상학적 진리관을 비판하며 자신의 철학적 방향을 정립했습니다. 플라톤은 이데아라는 영원불변의 진리를 추구했지만, 그는 이데아의 불변성을 부정하고 역사와 문화적 맥락 속에서 변화하는 것이라고 주장했습니다.

📝 서양 철학의 기초를 세운 “플라톤 철학”

이런 비판은 전통적인 형이상학의 한계를 지적하고, 철학의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집니다.

로티의 삶은 20세기 후반 미국의 격동적인 역사와 궤를 같이합니다. 냉전, 베트남 전쟁, 인종 차별 등 사회적 갈등이 첨예했던 시대 속에서 그는 전통적인 철학의 한계를 느끼고 새로운 철학적 가능성을 모색했습니다.

그리고 그의 사상은 당시 미국 사회의 변화와 맞물려 큰 반향을 일으켰고, 오늘날까지도 많은 논쟁과 영감을 불러일으키고 있습니다.

2. 리처드 로티 철학의 핵심

리처드 로티 철학의 핵심은 ‘우연성, 아이러니, 연대’라는 세 가지 개념과 그의 철학적 뿌리인 실용주의를 통해 이해할 수 있습니다. 그는 전통적인 철학의 형이상학적 탐구를 비판하며, 실용적인 관점에서 인간의 경험과 사회적 유용성을 강조했습니다.

(1) 우연성 (Contingency)

로티는 세상의 모든 것은 우연적인 사건들의 결과라고 보았습니다. 언어, 자아, 공동체 등 우리가 당연하게 여기는 것들은 역사와 문화적 맥락 속에서 형성된 우연적인 결과물일 뿐이라는 것입니다. 이러한 우연성에 대한 인식은 우리에게 겸손함과 다양한 가능성을 열어줍니다.

① 언어의 우연성

그는 언어가 세상을 있는 그대로 반영하는 도구가 아니라, 인간이 세상을 이해하고 소통하기 위해 만들어낸 도구라고 보았습니다. 따라서 언어는 끊임없이 변화하고 다양한 해석이 가능한 존재가 됩니다.

② 자아의 우연성

그는 자아 역시 고정된 본질이 아니라 경험과 언어를 통해 형성되는 우연적인 결과물로 정의합니다. 이는 끊임없이 변화하는 세상 속에서 새로운 경험을 통해 자신을 재구성해나갈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③ 공동체의 우연성

로티의 관점에서 보면 공동체 역시 역사와 문화적 맥락 속에서 형성된 우연적인 결과물입니다. 따라서 다른 문화와 가치관을 존중하고, 열린 마음으로 소통해야 합니다.

(2) 아이러니즘(Ironism)

로티는 아이러니를 통해 우리 자신과 세상을 객관적으로 바라볼 수 있다고 보았습니다. 아이러니는 우리가 당연하게 여기는 것들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고 새로운 관점을 제시합니다.

“Irony is the ability to recognize that one’s own beliefs might be wrong and that one’s own values might be arbitrary.”

아이러니는 자신의 신념이 틀릴 수 있고 자신의 가치가 임의적일 수 있음을 인식하는 능력입니다.

① 자기 아이러니

우리는 자신의 신념과 가치관에 대해 끊임없이 의문을 제기하고, 새로운 가능성을 열어두어야 합니다. 자기 아이러니는 우리를 더욱 유연하고 개방적인 사람으로 만들어줍니다.

② 사회 아이러니

사회적 불평등과 모순에 대해 비판적인 시각을 유지하고, 더 나은 사회를 만들기 위해 노력이 필요합니다. 사회 아이러니는 우리에게 사회적 책임을 일깨워줍니다.

(3) 연대성 (Solidarity)

로티는 서로 다른 배경과 가치관을 가진 사람들이 서로를 존중하고 연대함으로써 더 나은 미래를 만들어갈 수 있다고 보았습니다. 연대는 우리에게 공동체 의식을 심어주고 사회적 책임을 다하도록 이끌어줍니다.

“Solidarity is not discovered by reflection but created.”

연대는 성찰을 통해 발견되는 것이 아니라 창조되는 것입니다.

① 타인과의 연대

타인과의 연대는 우리를 더욱 인간적인 존재로 만들어줍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타인의 고통에 공감하고 도움이 필요한 상황에 손을 내미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② 미래 세대와의 연대

미래 세대와의 연대는 우리에게 책임감을 일깨워줍니다. 현재만 생각하지 말고 미래 세대를 위해 지속 가능한 사회를 만들기 위한 노력이 필요합니다.

(4) 실용주의(Pragmatism)와 신실용주의(Neopragmatism)

로티는 윌리엄 제임스와 존 듀이의 실용주의 철학을 계승하여 신실용주의(Neopragmatism)를 발전시켰습니다. 그는 진리를 객관적인 실재와의 일치한다고 보는 전통적인 관점을 거부하고, 인간의 경험과 필요에 따라 변화하는 유용한 도구라고 주장했습니다.

“Truth is what our peers will let us get away with saying.”

진리는 우리 동료들이 우리가 말해도 괜찮다고 허용하는 것입니다.

① 진리의 유용성

로티에게 진리는 객관적인 실재를 반영하는 것이 아니라, 인간의 문제 해결과 사회적 협력에 유용한 도구였습니다. 이런 관점에서 진리는 상황과 맥락에 따라 변화하며 다양한 해석이 가능한 존재입니다.

② 철학의 역할

그는 철학의 역할을 객관적인 진리 탐구가 아닌, 인간의 삶을 풍요롭게 하고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는 실용적인 것으로 보았습니다. 따라서 철학은 언어, 문화, 사회적 실천에 대한 비판적 성찰을 도와 인간의 가능성을 확장하는 실용적 도구 입니다.

③ 신실용주의의 특징

그는 전통적인 실용주의를 비판적으로 계승하면서, 언어 철학, 해석학, 포스트모더니즘 등 다양한 철학적 흐름을 통합했습니다. 그는 언어의 우연성과 해석의 다양성을 인정하고 사회적 실천의 중요성을 강조했습니다.

신실용주의적 관점에서 경험은 지혜와 통찰력을 제공하는 소중한 자산이며 세상을 이해하고 문제를 해결하는 지혜를 줍니다. 이런 경험적 지혜를 위해 다양한 가능성을 수용하는 유연한 태도가 필요하며, 습득한 능력으로 더 나은 세상을 만드는데 활용해야 하는 책임이 있습니다.

3. 우리 삶에 적용하기

로티의 철학은 오늘날 우리가 살아가는 세상과 우리 자신을 이해하는 데 있어 다양성에 대한 존중과 비판적 사고방식, 그리고 사회적 책임에 대한 중요한 통찰을 제공합니다.

① 다양성 존중

세상의 모든 것은 우연적인 결과라는 주장은 다양성을 존중하는 태도를 갖도록 이끌어줍니다. 서로 다른 배경과 가치관에 대한 열린 마음이 필요합니다.

② 비판적 사고

아이러니를 통해 세상에 당연하게 여기는 것들에 의문을 갖고 새로운 관점을 모색하는 자세를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비판적 사고는 우리를 더 창의적이고 독립적인 사람으로 성장하게 만들어 줍니다.

③ 사회적 책임

연대를 통해 공동체 의식을 함양하고 사회적 책임에 대해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사회를 구성하는 개인으로서 자신만 생각하지 않고 모두를 생각하는 자세는 우리를 더욱 성숙한 개인이 되도록 안내합니다.

4. 우리의 이야기가 만드는 세상

리처드 로티는 우리에게 세상과 우리 자신을 새로운 방식으로 바라보고, 더 나은 미래를 만들어갈 수 있다는 희망을 심어주었습니다.

그는 우리가 세상을 이해하고 소통하는 방식이 “이야기”를 통해 이루어진다고 보았습니다. 저마다의 이야기는 각자의 경험과 가치관을 담아내고, 타인과의 공감과 연대를 가능하게 합니다.

세상에는 수많은 각자의 이야기가 공존하며, 고유한 가치를 지니고 있습니다. 개인은 자신의 이야기를 돌아보며 새로운 이야기를 더해 성장하고, 동시에 타인의 이야기에 공감하는 연대를 통해 공동체를 이룹니다.

로티는 이 이야기를 통해 인간의 삶은 풍족해지고 사회문제를 해결한다고 보았습니다. 오늘은 더 나은 미래를 위해 각자만의 이야기에 귀 기울여 보면 좋겠습니다.

참고자료

https://plato.stanford.edu/entries/ror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