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복은 모든 인간이 본능적으로 추구하는 삶의 궁극적인 목표입니다. 하지만 “행복이란 무엇인가요? “라는 질문에는 저마다 다른 대답을 합니다. 철학자 아리스토텔레스는 이 질문에 명확하고 체계적인 답을 제시했는데요, 오늘은 아리스토텔레스의 “행복론(Eudaimonia)”을 중심으로 행복의 본질과 행복을 찾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행복론(Eudaminonia)의 기본 개념
아리스토텔레스(Aristotle)의 대표 저서 《니코마코스 윤리학》에 보면 행복을 “에우다이모니아(Eudaimonia)”라는 용어로 표현합니다. 에우다이모니아는 단순히 즐거움이나 쾌락같은 감정적 상태가 아니라 “잘 산다” 또는 “잘 존재한다”는 의미로, 삶의 완성 상태를 나타냅니다.
“Happiness is the meaning and the purpose of life, the whole aim and end of human existence.“
“행복은 스스로 자족적인 것이며, 삶의 궁극적인 목적이다.”
아리스토텔레스는 “모든 인간의 행위는 목적을 향한다”고 보았습니다. 우리가 돈을 벌고, 공부하고, 친구와 시간을 보내는 모든 행위는 결국 행복이라는 최종 목표를 이루기 위한 과정으로 설명합니다. 또한 행복은 자족적인 목적(Self-sufficient End)으로, 그 자체로 완전하며 더 이상 다른 무언가를 필요로 하지 않는 상태라고 했습니다. 결국 행복은 다른 목적을 위한 수단이 아니라, 그 자체로 궁극적인 목표라고 강조했습니다.
2. 행복을 이루는 핵심: 덕(Virtue)과 중용(Mesotes)
2.1 올바른 판단을 나타내는 “덕(Virtue)”
아리스토텔레스는 행복을 이루기 위해 덕(Virtue)이라는 개념을 필수 요소로 꼽았습니다. 덕은 인간의 본성을 잘 실현하고, 선한 행동과 올바른 판단에서 나타나는 성품이라고 정의했습니다. 그리고 이 덕은 다음의 두 가지로 구분된다고 말합니다.
2.2 과하지도 부족하지도 않은 상태의 “중용(Mesotes)”
행복론에서는 “중용(Mesotes)”도 매우 중요한 개념으로 정의합니다. 중용은 과잉과 부족 사이의 균형으로, 앞서 말한 “덕(Virtue)”의 실천은 이 “중용(Mesotes)”을 유지할 때 가능해집니다.
“Virtue is a mean between two extremes, excess and deficiency.“
“덕은 과잉과 부족 사이의 중용이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지나침은 무모함이 되고, 부족함은 비겁함으로 연결될 수 있기에 적절한 용기를 유지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그런데 여기서 말하는 중용은 단순한 평균치가 아니라 상황과 맥락에 따라 달라지는 최적의 상태를 의미하는데요, 한 가지 기준을 두고 고정 값으로 판단할 수 있는 개념이 아니라 살아가면서 겪게 되는 상황에 따라 판단하고 조절하는 연습이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2.3 행복을 완성하는 “실천적 지혜(Phromesis)”
아리스토텔레스는 행복이 단순히 생각이나 지식이 아니라, 올바르게 행동하고 선택하는 실천적 지혜(Phromesis)에서 비롯된다고 보았습니다. 행복을 완성하는 비결은 단순한 사고방식이 아니라 “실천”이 수반되는 삶의 방식을 의미하기 때문에 올바른 행동과 실천의 중요성을 강조했습니다.
3. 행복을 위한 외적 조건과 내적 성취
아리스토텔레스는 덕(Virtue)과 중용(Mesotes)같은 내부적인 조건을 강조하긴 했지만, 동시에 행복이 단지 내면의 상태로만 완성될 수 없으며 외적인 조건도 중요한 역할은 한다고 보았습니다. 경제적 안정과 기본적 생계 충족 같은 물질적인 부분이나, 사회적 동물로 존재하는 사람에게 공동체와의 관계를 중요하며, 운명과 같은 운(Fortune)의 영향도 인정했습니다. 다만, 외부 조건이 중요하더라도, 궁극적으로는 중용을 통한 덕과 실천을 통해 행복을 성취할 수 있다고 정의했습니다.
4. 현대적 관점에서 본 아리스토텔레스의 행복론
4.1 자기 계발과 윤리
아리스토텔레스가 말한 “덕”에 관한 윤리는 현대의 자기 계발과 연결될 수 있는데요, 그는 “자신의 잠재력을 최대한 발휘하는 삶”을 행복의 본질로 보았습니다. 자신을 발전시키고, 내적인 성취를 통해 만족감을 얻는 방식으로 성장하기 위해 노력하는 과정은 실천적 지혜(Phromesis)의 개념을 잘 설명해주는 행동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4.2 워라밸을 추구하는 현대인
중용과 균형은 우리가 흔히 말하는 워라밸(Work and Life balance)의 개념과 유사합니다. 누구나 개인의 삶과 업무의 균형을 추구하고, 욕구와 책임 사이의 조화를 찾으려 노력하며 살아갑니다. 이런 노력은 아리스토텔레스가 말한 중용과 균형의 개념을 잘 반영하고 있는데요, 넘치거나 부족함이 없는 상태를 유지하려는 노력은 결과적으로 심리적인 안정을 불러오기 때문입니다.
4.3 관계와 공동체
아리스토텔레스는 “좋은 친구는 행복한 삶의 필수 요소이다”라고 말했습니다. 사회적 관계의 중요성은 가족이나 친구, 동료와 건강한 관계를 통해 공동체 속에서 완성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물질적인 풍요 만큼이나 좋은 인간관계를 통해 교류하는 과정이 삶의 안정과 행복을 제공하는 중요한 요소라고 강조했습니다.
5. 행복은 삶의 “과정”이자 궁극적 “목표”
아리스토텔레스는 행복을 단순한 감정이나 일시적 상태가 아니라 인간이 추구해야 할 “최고의 선(Supreme Good)”으로 정의했습니다. 또한 행복은 덕과 지혜를 실천하며 완전한 삶을 이루는 과정이라고 강조했는데요, 이 과정은 우리의 의지와 선택에서 나오는 행동 속에서 실현될 수 있다고 가르쳤습니다. 아리스토텔레스가 말한 행복론의 개념을 활용해 지속 가능한 행복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막연하거나 추상적인 개념으로만 행복을 떠올리기보다는, 행복은 우리 스스로가 만들어가는 “삶의 예술”이라는 관점에서 바라본다면, 언제나 멀리 있는 존재가 아니게 됩니다.
아리스토텔레스가 행복론(Eudaimonia)을 통해 전달하는 행복의 개념과 가르침을 참고하면 매일 더 나는 선택으로 더 건강한 삶의 가치를 발견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