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물질적 욕망을 초월하고 검소한 삶을 통해 진정한 행복을 추구했던 철학자가 있습니다. 오늘은 키니코스 학파의 대표 철학자 테베의 크라테스(Crates of Thebes)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1. 자유로운 철학자
테베의 크라테스(Crates of Thebes)는 기원전 4세기경 그리스의 부유한 도시 테베(Thebes)에서 태어납니다. 고대 그리스 철학자들은 동일한 이름이 많고, 철학자의 사상이 어떤 환경에서 영향을 받았는지 알 수 있도록 출신 도시와 함께 이름을 부르는 게 일반적인 관행입니다.
크라테스 또한 테베라는 부유하고 다양한 문화가 공존하는 도시의 문화적 영향을 받아 독자적인 철학을 형성했을 거라고 추측할 수 있습니다.
그는 명문가의 자제로 풍족한 환경에서 부족한 것 없이 성장했지만 물질적 풍요 속에서 진정한 행복을 찾진 못했습니다. 그러던 어느 날 키니코스(Cynics) 학파의 창시자인 디오게네스(Diogenes)의 연설을 듣게 됩니다.
사회적 관습과 물질적 욕망을 비판하는 디오게네스의 철학에 큰 감명을 받은 그는 자신의 모든 재산을 버리고 단순하고 자유로운 삶을 위해 키니코스 철학자의 길을 걷기 시작합니다.
이후 정신적 자유와 행복을 추구하는 철학은 후대의 스토아학파에 큰 영향을 주었고, 특히 스토아학파의 창시자인 제논(Zeno of Citium)의 스승으로 잘 알려져 있습니다.
2. 삶의 동반자 히파르키아
욕망에서 벗어나 자유로운 삶을 살던 그에게는 특별한 동반자 히파르키아(Hipparchia)가 있었습니다.
히파르키아 역시 명문가의 딸로 태어나 풍족한 삶을 살았지만, 크라테스의 철학에 매료되어 부모의 반대를 무릅쓰고 그와 결혼해 키니코스적인 삶을 살아갑니다.
그녀는 남편의 철학을 지지하며 여성도 남성과 동등하게 철학을 탐구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고, 키니코스 학파의 유일한 여성 철학자로 크라테스와 함께 거리에서 사람들에게 철학을 가르치며 자유로운 삶을 살았습니다.
3. 크라테스의 철학의 핵심
크라테스의 철학은 키니코스 학파의 핵심 사상인 “‘자연에 따른 삶”을 바탕으로 합니다. 그는 물질적 욕망과 사회적 관습에 얽매이지 않고 자연스러운 삶을 추구하며 자유롭게 살았습니다.
(1) 욕망의 초월
“Wealth and reputation are as slippery as the path of love.”
부와 명성은 사랑의 길처럼 미끄럽다.
크라테스는 인간의 불행은 과도한 욕망에서 비롯된다고 보았습니다. 그는 물질적 욕망을 버리고 정신적 가치를 추구함으로써 진정한 행복을 얻을 수 있다고 믿었고, 부와 명예는 사랑처럼 인간의 통제 범위를 벗어난 불안정한 영역임을 강조했습니다.
(2) 자연과의 조화
그는 인간은 자연의 일부이며 자연에 순응하는 삶을 살아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실제로 인위적인 사회적 관습을 거부하고, 자연스러운 삶을 통해 정신적 평화를 추구하는 삶을 살았습니다.
(3) 검소한 삶
그는 최소한의 필수품만으로 생활하며 검소한 삶을 실천했습니다. 그는 진정한 행복은 물질적 풍요가 아닌 정신적 풍요에서 온다고 믿으며 단순한 삶을 살았습니다.
(4) 자유로운 삶
크라테스는 사회적 제약과 관습에서 벗어나는 것이 자유로운 삶이라고 생각하며 거리에서 사람들에게 철학을 가르쳤습니다. 나아가 자신의 신념을 솔직하게 표현하며 어디에도 구속받지 않는 삶의 모습을 실천했습니다.
4. 현대적 관점에서 보는 크라테스 철학의 가치
크라테스의 철학은 물질적 풍요만을 좇는 현대 사회에 경종을 울리며 진정한 행복의 의미를 되새기게 합니다. 소비주의 사회와 환경문제, 그리고 디지털 시대에 대해 새로운 관점으로 생각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1) 소비주의 사회
크라테스는 물질적 욕망의 덧없음을 강조하고, 진정한 행복은 내면의 평화와 정신적 풍요에서 온다고 가르쳤습니다. 이런 가르침은 소비를 부추기며 물질적 풍요를 행복의 척도로 여기는 현대 사회에서 소비주의에 대한 비판적 시각과 진정한 행복의 의미를 되새기게 합니다.
(2) 환경 문제
크라테스는 자연과의 조화를 강조하며 인간이 자연의 일부임을 인식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자연과의 조화는 단순히 환경보호를 넘어 공존을 의미합니다. 자연과 우리가 어떻게 존재하고 서로 이어져 있는지 생각하고, 지속 가능한 공존의 방식을 고민하도록 유도합니다.
(3) 디지털 시대
많은 현대인들이 점점 디지털 기기에 종속되어 자유를 잃어가고 있습니다. 시대적 환경이 다른 것은 분명하지만, 크라테스가 보여준 자유로운 삶의 태도를 생각해볼 필요가 있습니다. 디지털 세상에 대한 의존도를 줄이고 자신만의 시간을 확보하려는 노력이 필요한 시대입니다.
(4) 개인주의 사회의 연대와 공존
크라테스가 중요하게 생각한 소통과 연대의 가치는 개인주의가 늘어가는 현대 사회의 모습 속에서 중요한 메시지가 됩니다.
교류가 단절된 문화가 익숙해지고 있지만, 인간은 누구나 혼자 살아갈 수 없는 사회적 동물입니다. 단절보다는 소통을 생각하고 함께 공존하는 안정적인 사회로 나아가려는 모두의 노력이 필요합니다.
5. 우리에게 던지는 깊은 울림
크라테스는의 철학은 물질적 풍요가 아닌 정신적 풍요의 가치와 자유로운 삶을 통해 얻는 진정한 행복의 의미를 가르쳐 줍니다.
나아가 우리가 진정으로 행복한 삶을 살고 있는지, 어떤 가치를 추구하며 살고 있는지에 대한 질문을 통해 삶의 가치를 발견하고 성장하도록 안내합니다.
오늘은 마음은 자유롭게, 영혼을 풍요롭게 만들며 살아가라는 크라테스의 메시지를 되새기며 더 많은 것을 추가하지 않아도 충족되는 하루를 통해 행복을 실천해 보면 좋겠습니다.
참고자료
https://www.britannica.com/biography/Diogenes-Greek-philosopher